재테크

경제 뉴스, 이제 어렵지 않아요! 자주 나오는 용어 10가지 쉬운 정리

100억 소녀 2025. 6. 17. 20:56
반응형

경제 뉴스나 시사 이슈를 보다 보면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종종 등장합니다. ‘기준금리 인상’, ‘양적완화’, ‘디플레이션’ 같은 말들이 어렵게 느껴지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자주 나오는 경제 뉴스 용어들을 쉽고 간단하게 풀어드립니다.
이해만 제대로 해도 뉴스 읽기가 훨씬 편해집니다!


1.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대표 금리로, 시중은행의 대출·예금 이자에 영향을 줍니다.

  • 기준금리 인상: 대출이자 ↑, 소비 ↓ → 물가 안정 유도
  • 기준금리 인하: 대출이자 ↓, 소비 ↑ → 경기 부양 목적

✅ 뉴스 예시: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상”


2.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 전반적인 물가 상승
  • 디플레이션: 전반적인 물가 하락

💡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에 필요하지만, 과도하면 서민 부담 증가로 이어집니다.


3.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직접 푸는 정책입니다.

  • 국채 등을 사들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
  • 경기 침체 시 자주 사용됨

✅ 뉴스 예시: “미국 연준, 양적완화로 채권 1조 달러 매입”


4. GDP (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대표 지표입니다.

  • 높을수록 생산과 소비가 활발하다는 뜻
  • 보통 전년 대비 증감률(%)로 발표

✅ 뉴스 예시: “올해 한국 GDP 성장률 2.1% 전망”


5. 환율

자국 통화와 외국 통화 간의 교환 비율

  • 원/달러 환율이 상승: 원화 가치 하락, 수입 물가 상승
  • 원/달러 환율이 하락: 원화 가치 상승, 해외 여행·수입 유리

✅ 뉴스 예시: “환율 1,400원 돌파… 수입기업 부담 가중”


6. 금리 인상/인하

시중은행이 적용하는 이자율의 변화

  • 금리 인상: 대출 부담 ↑, 소비·투자 ↓
  • 금리 인하: 대출 부담 ↓, 소비·투자 ↑

💡 투자자에게도 중요한 이슈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주식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7. 실업률

일할 의사는 있으나 일자리가 없는 사람의 비율

  • 경기 상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
  • 청년층 실업률, 전체 실업률 등으로 나뉘어 발표됨

8. 무역수지

수출 - 수입의 차이

  • 흑자: 수출이 수입보다 많음
  • 적자: 수입이 수출보다 많음

✅ 뉴스 예시: “한국, 6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 기록”


9. 물가 지수 (CPI)

소비자가 실제로 느끼는 물가 수준

  • 물가 상승률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진단
  • 정부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준

10. FOMC

미국의 중앙은행격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 기준금리 결정, 양적완화 여부 등을 정하는 회의
  • 발표 전후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

✅ 뉴스 예시: “FOMC, 기준금리 동결… 시장 안도”


마무리

경제 뉴스는 용어만 이해해도 절반은 읽은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렇게 하나씩 익히다 보면 뉴스 해석력이 눈에 띄게 좋아집니다. 매일 아침 뉴스에서 한 단어씩만 정리해도 몇 달 후에는 훨씬 여유롭게 읽게 될 거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