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술사 소개에 따른 2편입니다.
기술사라고 하면 흔히 토목, 전기, 기계 같은 현장 직군을 떠올리지만,
경영, 정보, 환경, 안전, 품질 등 사무직 기반 분야에서도 도전 가능한 기술사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1. 정보관리기술사
- 대상: IT 기획, 데이터 분석, 보안, 정보 전략, 사무관리자 등
- 내용: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IT거버넌스, 보안 관리,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 전망: 공공기관 IT감리·자문, 민간 SI 프로젝트 기술책임자 등 수요 증가
사무직 중 IT 기획·운영 업무자에게 특히 유망
2. 산업안전기술사
- 대상: 안전관리, 인사/총무 부서에서 안전을 총괄하는 실무자
- 내용: 산업안전보건, 위험성 평가, 재해예방, 안전관리체계 수립
- 전망: 안전관리 책임자 선임, 공공기관·대기업 수당 지급, 컨설팅 가능
📌 안전보건 담당자 또는 인사총무계열에서 강력 추천
3. 경영지도사 + 기술사 연계 (정보/품질 분야)
- 정보관리기술사나 품질관리기술사는
경영지도사 자격(중소기업 컨설팅 전문 자격)과 상호보완적인 활용도 가능 - 품질관리기술사는 제조·서비스업의 품질 경영, 통계 분석, 품질혁신 등
- 사무직 출신 중 ISO, 품질관리, 컨설팅 업무 경험자에게 유리
4. 건설안전기술사 / 환경영향평가기술사
- 건설안전기술사: 건설사 인사총무/안전관리부서 근무자 대상
- 환경영향평가기술사: 환경영향평가 서류 작성·심의 관련 업무자 대상
- 둘 다 사무 업무 경험만으로도 응시 요건 충족 가능한 경우 있음
사무직 기술사, 이렇게 유리하다!
- 관리·기획 분야에서 전문성 인정받기 유리
- 공공기관 입사/승진 시 가산점 + 수당 혜택
- 퇴직 후 컨설팅, 프리랜서 자문 등 가능성 확보
- 타 기술사 대비 실무 현장 의존도 낮아 독학 가능성 높음
정리하며
기술사는 특정 공학 전공자나 엔지니어만의 자격이 아닙니다.
기획, 정보, 안전, 품질, 환경 등 사무직 중심 분야에서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는 기술사 자격증이 존재하며,
그 가치와 활용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 만약 사무직에서 기술 기반 전문성을 인정받고 싶다면,
정보관리기술사, 산업안전기술사, 품질관리기술사부터 시작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세대의 공격적 투자 성향: 왜 이렇게 투자에 적극적일까? (3) | 2025.05.31 |
---|---|
월급 300만 원, 어떻게 굴릴까? 현실적인 재테크 전략 (1) | 2025.05.26 |
기술사 자격증 종류 및 전망 — 기술인의 최고 영예, 왜 도전할까? (2) | 2025.05.21 |
브랜드 포지셔닝이란? 소비자 마음속에 브랜드를 심는 전략 (0) | 2025.05.20 |
밸류 체인이란? 기업이 가치를 만드는 전 과정을 보는 전략적 시각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