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2025년 12.2조 원 추경 편성…재해·통상·민생에 긴급 대응
100억 소녀
2025. 5. 8. 22:45
반응형
2025년 4월, 정부는 총 12조 2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편성했습니다.
이는 연초부터 이어진 산불, 수출 충격, 경기 둔화 등 복합 위기 상황에 대한 신속 대응을 위해 마련된 예산으로, 국민의 삶과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추경 편성 배경
- 대규모 산불 피해 복구
영남권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주택, 농가, 산림 등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긴급 예산이 필요했습니다. - 수출산업 타격
최근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긴급 지원이 요구됐습니다. - 민생 불안 대응
경기 침체와 물가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저소득층, 취약계층 지원도 중요한 추경 목적 중 하나입니다.
주요 예산 사용처
재해·재난 대응 | 3.2조 원 | 산불 피해 복구, 이재민 지원, 산불 대응 인프라 확충 등 |
수출·산업 지원 | 4.4조 원 | 통상 피해 기업 지원, AI 산업 투자, 공급망 안정화 등 |
민생 안정 | 4.3조 원 |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긴급 생계비, 생활물가 대응 등 |
기타 항목 | 0.2조 원 | 필수 공공지출 및 국채 이자 등 |
재원 조달 방법
- 국채 발행: 8.1조 원
- 기금 여유자금 활용: 4.1조 원
이번 추경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면서도, 위기 대응에 필요한 자금을 최대한 빠르게 투입하는 방식으로 설계됐습니다.
기대 효과
- 경제 성장률 소폭 회복
약 0.1%포인트 수준의 성장률 상승 기대 - 수출 경쟁력 강화
대외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 방어력 확보 - 민생 안정화
실질적 지원으로 국민 체감 경기 완화
마무리하며
이번 12.2조 원 규모의 추경은 단순한 경기부양책이 아니라, 긴급한 피해 복구와 민생 회복,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목적성 예산입니다.
현실을 반영한 신속한 집행이 이뤄진다면, 한국 경제의 회복에도 긍정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